취재

전병헌 의원 "성장없는 지스타·게임산업, 혁신이 필요하다"

다미롱 (김승현) | 2015-11-14 18:12:09

새정치민주연합 전병헌 의원이 14일, 지스타 2015에서 정부의 게임정책과 지스타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게임 산업과 지스타 모두 정체기에 접어들었는데도 뚜렷한 대응이 없다는 지적이다.

 


 

 

■ 위기의 한국 게임, '전문가'들의 정책이 필요하다

 

전병헌 의원은 한국 게임산업을 '정체기'라고 표현했다. 그가 한국 게임산업을 정체기라 표현한 것은 3가지 징조 때문이다. 먼저 전병헌 의원 자체 조사 결과, 게임 업체와 종사자 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이와 함께 게임산업의 매출 성장률도 점점 둔화되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점점 중국 자본이 비율을 높여가고 있다.

 

시장의 성장세는 점점 꺾여가고 있고 해외 자본의 잠식률은 높아졌다. 전 의원은 이런 현실을 이야기하며 "제 2의 황금기를 이끌어 내지 못하면 중국의 자본력에 속수무책으로 종송될 수 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전 의원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전문가를 대거 기용하고 각종 규제를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먼저 과거 한국콘텐츠진흥원에 통합되었던 '게임산업진흥원'을 되살리고, 문화체육관광부 내에 '게임산업정책과'를 신설해 정부 내 게임전문가를 대거 늘려야 할 것을 주문했다.

 

그가 이런 주장을 한 이유는 두 부처에 사실상 게임산업 전문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주요 요직을 방송 계열 인사들이 포진해 있어 균형적인 콘텐츠 진흥책이 힘들다. 전 의원은 아예 한국콘텐츠진흥원을 '방송콘텐츠진흥원'이라 비꼬며, 과거 한국콘텐츠진흥원에 통합되었던 '게임산업진흥원'을 되살려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경우 상황이 났긴 하지만, 매년 게임산업 담당자가 바뀌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게임 정책의 집행이 힘든 상황이다. 전 의원은 이를 지적하며 아예 문화체육관광부 내에 '게임산업정책과'를 신설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게임 산업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마지막으로 정부의 각종 게임 규제도 철폐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산업 환경 변화와 규제로 인한 게임산업의 매출 손실액은 1조 3천 억원에 달한다. 때문에 그는 정부가 게임 산업에 대한 규제만 철폐해도 최소 1조원 이상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며, 정부 부처의 규제 철폐를 주문했다.

 

 

■ 성장 멈춘 지스타, 선도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

 

전병헌 의윈은 이와 함께 지스타 또한 정체기에 접어들었다며, 뚜렷한 혁신이 있어야만 이전과 같은 성장세를 회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가 이같은 지적을 한 이유는 각종 수치의 둔화 때문이다. 지스타 2015의 첫 날 B2C 방문자 증가율은 3% 수준. 참고로 작년은 올해와 달리 행사 첫날이 수능시험일이 아니었다. 사실상 평일과 휴일의 비교인데도 성장세가 3%에 불과하다. 행사 참가업체도 2.6%만 증가했다. 예년보다 높은 수치긴 하지만 자연증가율을 감안하면 사실상 답보라고 봐야 한다.

 

전병헌 의원은 이와 함께 '넷마블' 등 모바일게임 시장 주류 업체의 불참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이미 시장은 계속 변하고 있는데도, 시장 변화의 가장 큰 수혜자는 지스타에 불참했다. 지스타 자체가 마케팅 등에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떄문이다. 그나마 넥슨이나 엔씨 등 대형 업체가 지스타를 받춰주긴 했지만, 이것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장담할 수 없다. 지스타 자체의 혁신이 필요한 이유다.

 

전 의원은 이같은 사실을 지적하며 협회와 정부, 그리고 시장 선도 업체들이 한데 모여 새로운 지스타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와 협회의 힘만으로는 힘든 일이다. 선도 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며 주요 업체들의 역할을 강조했다.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