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생각이 요즘 언리쉬드로 카드게임 접하면서 드는 생각입니다.
이게임 하면서 커뮤니티에 간간히 올라오는 인증같은걸 보다보니
서비스한지 한달도 안된 게임에서 수십만원어치 과금한게 분명한 사람들이 너무 많이 보였었습니다.
그리고 카페나 TIG 아지트, 헝앱같은 커뮤니티를 돌아다닐때
한달에 10만원쓰는 라이트유저라는 표현이 나와도 거기서 그걸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한명도 안보이더군요 =_=
혹시나 싶어서 헤비과금러라는 표현이 월결제액 몇만원 이상으로 생각하냐고 한번 질문글을 써봤었습니다.
대개 30~50만원이라는 답변이 나오더군요. 그 밑으로는 안나왔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장르의 게임에서 한달에 10만원을 쓰면서 라이트유저다? 그런소리 쉽게 못합니다. 농담으로도 저런소리는 나오기 힘들죠.
월정액제 mmorpg게임이 2만원만 넘어가도 비싸다고 합니다. 패키지게임 가격이 비싸도 5만원~6만원 합니다.
당장 스팀을 둘러봐도 10만원이 있다면 인디게임들을 한달 아니 두달도 할 수 있을겁니다.
그런데 카드게임 장르에서는 월결제액 10만원이 라이트유저라는 소리가 나옵니다. 저 커뮤니티의 사람들이 이상한 걸지도 모릅니다.
아니면 한달에 10만원 과금을 과도하다고 보는 저혼자 이상한 놈일지도 모르겠구요. 차라리 후자가 사실인게 낫지않나 싶습니다. 사람들이 게임에 저렇게 돈을 많이쓰는데 제작자들이 얼마나 좋아하겠습니까 껄껄껄;;
개인적 경험에서 나온 빈약한 추측이지만 정말 카드게임의 평균적인 과금수준이 다른 장르보다 몇배이상 높은게 사실이라면, 이또한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지않나 싶습니다.
막말로 만원 써서 재미있게 할 게임이 천지에 널렸는데 10만원 써야되는 게임을 할 이유가 없지 않겠습니까? 카드게임 장르 고유의 재미를 느끼는데 기꺼이 돈을 쓸 사람이라면 모를까 여러 게임을 즐기는 보편적인 게이머들에게 높은 가격은 분명히 하나의 장벽이 될거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