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게임 중독??? 진단은 누가 할것이냐 냉철한 11-13 조회 12,001 공감 1 0

앞서 글에서도 나왔지만 추가로 하고싶은 말이 있어서 써봅니다.

 

현재 게임중독법에 게임 중독을 정확히 판단하는 기준조차 없습니다.

 

법이 발휘된다고 쳤을때 게임 중독을 누가 진단하고 판단할까요?

 

바로 엄마입니다.

 

엄마손에 이끌려 신경정신과에 찾은 아이를 보고 "당신 아이는 게임중독이 아닙니다" 라고 말할 의사가 과연 1명이라도 있을까요??

 

전혀 없다고 장담합니다. 한명한명이 다 돈이거든요. 아니라고 하면 엄마만 뿔나서 클레임 걸텐데 거부할 이유가 없죠

 

 

저는 게임을 취미로 즐기는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바쁠때는 1,2주일동안 한시간도 못할때도있고, 좀 한가할때는 금요일날 휴가내고 3일내내 밥만 먹고 게임만 즐기기도 합니다.

 

제가 게임중독인걸까요?

 

중독 ;


1. 생체가 음식물이나 약물의 독성에 의하여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

2. 이나 마약 따위를 지나치게 복용한 결과그것 없이는 견디지 못하는 병적 상태.

3. 어떤 사상이나 사물에 젖어 버려 정상적으로 사물을 판단할 수 없는 상태.

(네이버 사전 발)


단연컨데 저는 이 세가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그럼 전 게임 중독이 아니군요.

 

게임을 여기에 대입시켜본다면 1번이야 상관이 아예없고 3번도 게임정도를 해서는 문제가 없죠

 

그럼 2번이 남는데 흔히 금단증상이라고 하죠.

 

담배, 도박, 술 마약등 큰 중독질환에는 금단현상이 존재합니다.

 

게임에 금단현상이 있나요??

 

프로게이머들이 여행가서 게임 일주일 못하면 금단현상이 나타날까요??

 

하루에 10시간도 게임 즐기는 아이들이 게임을 일주일 안했을때 어떤 금단현상이 나타날까요?

 

게임은 금단현상이 극단적으로 적습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게임은 "중독" 이라는 카테고리에 놓는것을 굉장히 신중히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정말로 게임 중독에 대해서 사회적으로 처리하고 싶다면

 

먼저 1. 게임에 대한 이해. 어떤 게임이 어떠한 해로움을 주며 어떠한 이로움을 주는지

 

2. 중독에 대한 명확한 정의. - 근데 사실 이건 전세계어디에서 마련하지 못한 진단이라 우리나라가 할수있을지.. 의문스럽네요

 

를 명확히 인지하고 진행하는것이 맞다고 봅니다.

 

지금 꼰대 표현이 이슈인데, 전 충분히 맞다고 보는게 게임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이 

 

"게임=공부안함=말안들음=해로움"

 

이라고 단정지어버리고 일을 진행하니 꼰대가 맞지요.

 

두서없는 글을 썻네요. 요즘 너무 빡쳐서... 게임의 유일하고 너무 즐거운 취미라고 생각하는데 불쌍한 학생들 게임하는 낙으로 

 

살아가는데 그거마저 막으려고 하는 현실이 너무 싫어서 처음으로 글 남기네요..

 

 

이 법안이 잘 처리되길 바랍니다.

 

 

COOL: 1 BAD: 0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냉철한 | Lv. 12
포인트: 5,420
T-Coin: 117
댓글 0
에러
시간
[비밀글] 누구누구님께 삭제된 글입니다 블라인드된 게시물입니다 내용 보기 댓글을 로딩중이거나 로딩에 실패하였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쓰기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