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6개월 운영 후 종료하는 삼국지 퍼즐 대전 관련해서 각 부서에 탄원서를 넣어볼까합니다.
중소기업 파산도 아닌 넷마블이라는 업체에서 거의 게임 유저를 농락하다시피 발생한 사건으로서...
모바일 게임 운영 시 정말 나쁜미음을 먹고 운영을 한다면 어떤 결과를 보일 수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라고 보여
적극적으로 관련 부처에 탄원서를 넣어볼까 합니디.
공감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해당 원문을 자신들이 아는 고발 부처에 올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이번 문제 이슈없이 넘어간다면 저도 한번 일본 게임 라이센스 받은 후 6개월 운영뒤 먹튀 한번 해볼까 합니다.
(모바일로 작성해서 약간의 오타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요즘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해서 언급드리고자 합니다.
애니팡과 드래곤 플라이트의 대성공 이후에 지금 국내 게임 업계는 카카오톡을 이용한 게임 플랫폼이 유행 중에 있습니다.
카카오톡 플랫폼의 게임들의 특성이 기본 게임 플레이는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고 아이템과 추가 이용횟수 등을 유료로 판매하면서
수익을 이끄는 구조가 되어있는데요.
대부분의 게임들이 과금 없이는 정상적인 플레이가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확률 공지가 없는 뽑기 및 그 뽑기의 1회성 비용 자체가 상당히 높게 책정이 되어 있어 결국 사행성 구조로 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발생한 가장 큰 문제가 1~2달 사이에 과금을 유도하는 이벤트를 유도한 뒤
이벤트 이후 어떠한 공지도 없이 과금 환불 가능 기간을 지난 한달 정도 후에 갑자기 서비스 종료를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네 이전에 다른 분이 언급하셨전 '삼국지 퍼즐 대전'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이 심국지 퍼즐 대전에 대한 이야기만 하더라도 지금 국내 모바일 시장의 문제점이 전부 지적될 만큼 엄청난 파행 운영의 결정체를 보여주는데요...
해당 게임은 일본 및 중국 등지에서 크게 히트한 게임을 '한글 음성 및 한글 텍스트'를 통해 국내 서비스를 진행을 한다고 유저들에게 광고를 진행하면서 서비스 개시를 하였습니다. (2014년 4월)
1. 한글화를 기대하며 많은 이들이 플레이 진행하였으나, 원본인 일본과는 뽑기 시스템 등으로 실질적으로 비슷한 돈을 지불하고도 한국 유저들은 말도 안되는 서비스를 제공 받았습니다. (이 부분은 게임사 운영 정책인 만큼 그러러니 하겠습니다.)
2. 서비스 개시 후 3개월만에 돌연 한글 음성 서비스를 종료합니다. 기존 성우를 고용하면서까지 제작했던 한글 음성까지 일방적으로 삭제하면서까지 넷마블에서 내세운 논리는 단순히 빠른 컨텐츠 도입이었습니다.
이때 1차적으로 대규모 환불 소동이 일어났습니다. 한글 음성 지원하는 삼국지퍼즐대전으로 광고를 보고 게임을 시작한 유저들에게 있어서 이는 엄연한 사기행위이기때문에 해당 부분에 대해서 커다란 항의 소송이 들어갔으며,
애플측에서만 해당 과실에 대해서 인정히고 부븐 환불을 진행하였고, 구글 및 넷마블 측에서는 환불을 거부하였습니다.
특히나 넷마블 측에서는 음성 데이터는 단순 컨텐츠인 만큼 해당 음성 삭제는 제작자 고유 권한인 만큼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거기서 약속한 것이 빠른 컨텐츠 도입과 서비스 정상화입니디.(2014년 7월)
3. 거기서부터 약 2달간 엄청난 과금 컨텐츠를 도입하였고 기존 유저들은 넷마블을 믿고서 과금 및 플레이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로부터 2달뒤인 9.13일 이후로 넷마블에선 자사가 운영하는 공식 카페에는 어떠한 공지가 내려지지 읺았고 게임자체도 그 시기 이후로 방치되기 시직했습니다. 넷마블서 주기로한 과금 금액에 따른 보상도 보상 기한을 한참 지난 후 유저들이 항의 후에나 보상이 지급되기 시작했고 급기야는 한달 반정도가 지난 10월 30일경 서비스 종료에 따른 공지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보상안은 과금 대비 보상이 아닌 단순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성 캐쉬에 대한 보상입니다.
고작 6개월 운영에 흔히 얘기하는 먹튀 행위가 발생한 것입니다.
많은 이들이 몇백 단위의 비용을 지불했음도 그부분에 대한 보상안은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그 6개월간 정상적인 서비스를 빋았냐하면 그것도 아닙니다.
매월 단위로 운영자측에서는 유저들이 납득할 수 없는 부조리한 운영을 하였으며, 해당 내용도 결국 유저들의 거센 항의 후에나 개선이 되었습니다.
애초부터 정상적인 운영이 아닌 일반 유저들의 돈을 뜯어먹기위한 포석이 가득했습니다.
삼국지 퍼즐 대전이 보여줬던 블법적인 조항에 대해서 나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왜 해당게임이 전체이용가 일까요??
삼국지 퍼즐 대전이 전체 이용가가 될 수 없는 이유는 여러가지 있습니다.
이 게임이 전체 이용가 등급을 받은 이유는 단 하나입니디.
'바로 모바일 게임이기 때문이죠' 모바일 게임의 경우 정부 육성 산업으로 간이 이용 등급 심사가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게임은 일러스트 뿐만이 아니라 대화 자체도 성적인 내용 및 폭력적인 내용이 있습니다.
특히나 추씨라는 캐릭터에서 나오는 음성 자체는 끝자락에 성행위에 나오는 신음소리와 다를바가 없습니다.
게다가 삼국지 장수들이 외치는 대사인 만큼 대부분의 대사가 죽어라죠. 없애버리겠다라던지...
과연 일반적인 pc겜이라면 해당 게임이 전체 이용가를 받았을까요??
글쎄요 전 최소 15세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2. 전체이용가 대비 비싼 과금금액
일반적인 뽑기가 회당 3300원꼴입니다. 무려 전체 이용 등급가에서 말이죠.
거기서 판매 패키진 11만원까지 패키지가 있습니다.
뽑기도 1회 아니면 무조건 10회입니다. 10초도 안되는 시간 한번 즐기는데 3만3천원인거죠.
게다가 확률 공시도 없습니다. 일본에서는 10프로로 공시된 확률도 넷마블에선 수많은 조작질로
실제 확률이 1프로로 까지 떨어졌었습니다.(이도 일본 확률을 기반으로 유추한겁니다.)
사행성으로 문제가된 바다이야기도 이정도는 아니지 않나요??
집에서 고스톱을 치더라도 일정 금액 이상 올라가면 도박으로 간주가 됩니다.
그런데 이런 전체 이용가 등급에서 이런 시스템은 왜 사행성 게임이 아닐까요?
3. 게임 유통사의 유저 사기행각
한글화를 광고한 게임에서 중간에 한글화를 포기한 게임이 과연 정상적일까??
제가 알기로는 국내 게임 역사상 초유의 사태였습니다. 거기에 대한 어떠한 공식적인 사과 및 보상도 없었습니다.
이를 걱정하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이번이 용납이 되면 향후에도 똑같은 일이 발생합니다.
특히나 한글화로 유저를 끌어들인 후 단시간에 수익을 올리고 6개월도 안되는 시간에 서비스를 종료해버리는거죠
서비스 종료에 따른 그 어떤 사과 및 조치도 받지 못했습니다.
중소기업이 파산을 해서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도 아닙니다.
국내 수위를 달리고 있는 대기업에서 발생한 겁니다.
향후에 몇개월 서비스로 유저 돈을 긁어먹고 도망가는 먹튀행위, 발생 안할까요??
일본에 동일 게임이 서비스가 되고있는 상황입니다. 최소한의 조치로 계정 이관 문제까지도 언급이 안됩니다.
자사 다른 게임으로의 보상? 이런것도 없습니다.
그냥 단 6개월동안 유저들의 돈을 긁어먹고 튄겁니다.
이게 문제가 안된다면 사실 자도 똑같이 한번 돈을 벌어보고 싶네요.
일본에서 유행하고 있는게 임 6개월 라이센스민 얻은 뒤 서비스 후 튀기...
전 이게 계주가 곗돈을 들고 튄거랑 다를바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해당 민원은 여기 뿐만이 아니라 제가 알고 있는 모든 부서에 넣어볼까 힙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디.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