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온 요금제에 대한 생각 cowboy7046 11-21 조회 3,964 공감 2 31

솔직히 저도 아이온의 프리우스만도 못한 퀘스트 네비게이션 시스템이라던가, 뭘 기준으로 책정했는지도 모르겠는 퀘스트 경험치라던가, 잦은 퀘스트 설명 실수 등등 여러가지 부분에서 상당히 불만이 많은 사람인데요...

 

하지만 요금제 부분 만큼은 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축에 속합니다.

 

네, 저도 처음에는 엔씨에서 대체 무슨 생각으로 이런 요금제를 지정했는지 이해가 안갔습니다.

 

얼른 봐서는...

 

어 뭐지?  30일에 19800원인건 좋은데 뭐?  거기다가 300시간 제한을 또 걸어?

 

언뜻보기는 정말 어이없죠.  기간제있는것도 모자라서 시간제한까지 걸고...;;

 

솔직히 반발사기 쉬운 시스템인게 사실입니다.  그런데 대체 왜 이렇게까지 한걸까요?

 

당연히 이런 요금 시스템에 대한 부분이 일반유저들의 반감을 사기 쉬운 부분인데 왜 이렇게까지 한걸까요?  그냥 엔씨가 돈에 미1친놈들이라서?

 

입장 바꿔놓고 생각해보시죠.

 

여러분들이 엔씨 경영진이라고 생각하고 요금제를 책정한다고 했을때...

 

300시간 제한을 걸면 돈을 두배로 낼만한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될거라고 생각을 하시나요?

그게 매출에 굉장히 큰 영향을 주기나 할까요?

 

아뇨 제 생각에 이게 매출에 주는 영향은 오히려 미미합니다.  저 시스템으로 인한 매출의 증가액은 1%도 안된다라고 봐도 될거에요.

 

그리고 저 시스템으로 인해서 유저들이 반감을 갖는 부분을 생각해보죠.

못해도 5에서 1명 이상은 저 시스템에 반감을 가질거고 그 반감을 가진 사람 가운데 절반은 저 시스템때문에 기분이 나빠서 결제를 안하고 다른 게임을 할 수도 있습니다.

 

뭐 꼭 이런 계산법이 맞으리란 법은 없지만...제 생각엔 적어도...한달에 600시간 이상 돌릴려고 추가 결재를 하는 사람들의 비율보다는 저 요금제가 기분나빠서 아주 결재를 포기해버릴 사람의 비율이 클거라는 소리죠.

그럼 오히려 실질 매출의 감소로 이어집니다. 

적어도 돈에 미1친 경영자라면 미1친짓입니다.  회사 이미지도 나빠지고...차라리 노멀하게 린2보단 싸고 와우보단 조금 비싼 요금제 책정하는 게 백번 낫습니다. 

그럼 이런걸 왜합니까?

 

제가 봤을때는 오히려 이건 진짜 개훼인들 막기 위한 방책이라고 밖에 생각이 안됩니다.  하지만 아주 못하게 할 수는 없으니까, 할려면 더 해라.  돈내고.

 

개폐인들은 솔직히 장기적으로 봤을때 개발사에나 다른 유저들에게나 어떻게든 피해를 줄 수 밖에 없는 존재들입니다.

게임 컨텐츠를 지나치게 빠르게 소모합니다.  게임 경제에 인플레이션을 조장합니다.  게임내 사냥터를 마구 독점합니다.  뭐 이러저러한 이유로 이들은 어떻게든 악영향을 끼칩니다.

 

이들을 막으면, 단기적으로 봤을때는 매출에 악영향이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컨텐츠 소모가 그만큼 더뎌지고, 라이트 유저들이 보다 쉽게 하드 코어 유저들과 균형을 맞출수가 있고, 인플레이션도 완화되어지니까요.  그럼 유저들이 더 응집력있게 뭉치고, 게임은 생명력을 가지며, 라이트 유저들의 이탈률도 훨씬 적어집니다.

 

제가 경영진이라면 단기적인 무리수를 감안하더라도, 이러한 장기적인 장점을 감안해서 이런 시스템을 도입할 겁니다.

 

다른건 몰라도, 아이온의 요금체계만큼은 새로운 형태의 피로도 시스템으로 봐도 무방하고, 오히려 찬사를 보내야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COOL: 2 BAD: 0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cowboy7046 | Lv. 7
포인트: 1,681
T-Coin: 6
댓글 0
에러
시간
[비밀글] 누구누구님께 삭제된 글입니다 블라인드된 게시물입니다 내용 보기 댓글을 로딩중이거나 로딩에 실패하였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쓰기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