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부분유료화, 한국 게임시장 변화를 말한다. 심쇼 03-17 조회 10,242 공감 3 16
빠르게 변하고 있는 게임시장 최근 여러 포털사이트 게임순위를 보면 짧은 플레이 시간으로도 충분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게임들이 상위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 게임을 즐기고자 하는 게이머들의 열정을 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캐주얼 게임들은 포화상태인 게임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시대의 변화가 반영되고 있는 결과인 듯 합니다 이렇게 캐주얼 게임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데 그 밑거름은 무엇일까요.
온라인게임은 지속적인 수입과 동시에 서비스가 되어야 하기에 기존 과금형태인 정액제 시스템으로는 캐주얼 게임이 게임시장에서 서비스되기에는 힘든 상태였습니다.
 
[ 포트리스2 ]
대표적인 캐주얼 게임 중 하나인 포트리스2는 일반게이머들에게는 무료, 피시방 혜택 서비스로 수익을 창출하는 형태로 서비스를 해왔습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인기가 내려가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르나 포트리스2가 부분유료화 서비스로 다향한 혜택 제공 및 수입형태를 찾았으면 더욱 향상된 서비스로 인기를 유지 할 수 있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 카르마 온라인 ]
대표적인 다른 게임으로는 카르마온라인을 언급 할 수 있는데요. 하루 30분 플레이 제약을 둔 부분유료화 과금방식을 도입하였습니다. 수많은 버그 및 운영이 미흡하여 속칭 망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수입 경로를 찾지 못하고 미흡한 과금 방식도 카르마 온라인의 하락세를 도와주었습니다. 
시간히 흘러 지금의 게임시장에서 부분유료화는 필수요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대작게임을 제외하고는 어떤 장르의 게임일지라도 정액제과금 방식을 선택 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포화상태인 게임시장에서 게이머를 사로잡기 위해서는 접근이 쉽고 무료로 플레이 할 수 있다는 장점과 더욱 좋은 수익률을 가져다 주는 부분유료화 과금방식을 선택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변질되어가는 부분유료화 과금방식은 질 좋은 서비스보다는 돈을 벌기위한 게임을 만들어가는 하나의 부분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습니다.

돈이 궁해도 그렇지 게임아이템 하나를 70만원에 파는 것은 아니지 않겠습니까?

한국 온라인 게임시장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돈'과 '서비스'가 같이 향상되어야 할 것입니다.

 

//ggoodgame.tistory.com

 

COOL: 3 BAD: 0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댓글 0
에러
시간
[비밀글] 누구누구님께 삭제된 글입니다 블라인드된 게시물입니다 내용 보기 댓글을 로딩중이거나 로딩에 실패하였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쓰기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