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장애인과 사귀는 미연시 [장애소녀] 옹호. 수요공급 04-09 조회 41,540 공감 2 130

 

(오오 미연시 오오)

 

 

 

예전에 '홈프론트'에 대한 포스팅 이후로 게임과 터부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하다가,

 

이번 포스팅을 올리게 됩니다. 

 

위의 게임은 장애소녀-Katawa Shoujo(かたわ少女)-라는.... 정확히 직역하자면 애자소녀지만, 하여간 미연시 게임입니다.

 

양키 덕후님(!!)들이 개발하는 동인게임으로 2007년부터 개발 중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엔하위키 : //mirror.enha.kr/wiki/%EC%9E%A5%EC%95%A0%EC%86%8C%EB%85%80

 

게임메카에서의 디스글 : //www.gamemeca.com/news/news_view.html?seq=16&ymd=20081126&page=1&point_ck=&search_ym=&sort_type=&search_text=&send=&mission_num=&mission_seq=

 

 

 

 

스토리를 대충 말씀드리자면,

 

선천성 심장 기형을 가진 주인공이 장애 청소년을 위한 특수학교에 입학해서 시작하는 미연시 라이프입니다.

 

5명의 히로인 중 한명을 공략해가는.....ㅋㅋㅋㅋ

 

 

 

 

장애소녀는 확실히 호불호가 갈리는 게임입니다.

 

덕후들 사이에서도,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서도요. (하지만 확실히 내 취향이라능;;;)

 

뭐, 딱히 여기서 갠취존중에 대해서 논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저 위의 게임메카의 디스글이나 인터넷에서의 반응을 읽다가 느꼈습니다.

 

 

 

'이게 과연 욕 먹을만한 게임인가?'

 

 

 

이 게임을 욕하시는 분들의 주장은 이렇습니다.

 

 

"장애인을 성적으로 보는 게임은 과연 정당한가?

 

어떻게 사회적으로 특정 소외 집단을 '공략'한 후에 '정복'한다는 내용을 인정 할 수 있는가?

 

만약 장애인들이 예쁜 미소녀가 아니었다면 과연 게임 히로인이겠는가?"

 

 

 

저는 이런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하겠지만, 장애소녀가 대중들에게 모에로 느껴지는지는 말하지 않겠습니다.

 

제가 말하려고 하는 것은 '장애인을 공략하는 게임'에 대한 표현의 자유 허용입니다.)

 

 

 

저는 묻고 싶습니다.

 

이 게임이 정말 장애인을 성적 대상으로만 보는 게임입니까?

 

장애소녀는 순애물입니다.

 

순애물은 남자 주인공이 여자 주인공을 만나서 고백하고 연애 과정을 거쳐서 결국 H신(성교)까지 가게 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합니다.

 

그런데 마지막 H신 때문에 장애인을 성적 대상으로만 보는 게임이라는 평가를 받아야만 하는 걸까요?

 

정확히는 '장애인을 연애 대상으로 보는 게임'이라는 판단이 옳을 것입니다.

 

 

 

미소녀 장애인이 아니었다면 공략대상이 될 수 있었겠냐는 문제도 역시 그렇습니다.

 

이렇게 반문할 수도 있겠죠.

 

'게임이 아니라 다른 문화장르에서의 연애에서 왜 대상은 대부분 미남미녀인가?'

 

시크릿 가든에서 왜 하지원을 캐스팅 했을까요?

 

연애물에서 미남미녀를 쓰는 것 자체를 반대하십니까?

 

왜 장애인이 미소녀로 묘사되는 것에는 무언가 다른 기준과 잣대가 필요한 겁니까?

 

말도 안되는 이야기죠, 저 이야기를 부정하면 대중문화 전반을 부정하게 됩니다.

 

 

 

정리해보자면 장애소녀에 제기되는 문제는 '장애인이라서'가 문제가 아닙니다.

 

미연시 전체에 대한 불만이죠.

 

정확히는 소녀와의 연애라는 '남성의 판타지'를 판매하는 장르에 대한 불만입니다.

 

(라이프 라이크라는 게임에서는 휴대폰이나 초콜릿 같은 사물을 여성화 시켜서 공략합니다.)

 

 

두근두근 메모리얼이든 러브 플러스든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보고 공략하는 것은 옳은가?'

 

는 제기할 수 있죠, 딱히 장애소녀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너무 확대논리기는 하지만 이렇게 말할 수가 있습니다.

 

'장애소녀에 대한 디스는 미연시라는 장르, 또는 타 문화의 연애물 자체에 적용 될 수 있는 것이기에 이런 문제제기는 문화 자체를 부정하는 것에 불과하며 그렇기에 옳지 못하다.'

 

 

 

(저는 오히려 이 게임을 비판한다면 다른 부분을 말하고 싶습니다.

 

왜 남자주인공도 장애인이죠?

 

물론 배경자체가 장애인 학교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장애인 커플'이라는 구도 밖에 만들어질 수 없다는 것은 아쉽습니다.)

 

 

 

홈프론트 이후로 오랜만에 포스팅 해봅니다.

 

공부로 바빠서 여기 자주 못 오게 되서 슬프네요.

 

좋은 덧글 많이 부탁드립니다.

COOL: 7 BAD: 5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댓글 0
에러
시간
[비밀글] 누구누구님께 삭제된 글입니다 블라인드된 게시물입니다 내용 보기 댓글을 로딩중이거나 로딩에 실패하였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쓰기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