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사진소스를 이용한듯보입니다...
어짜피 매트페인팅 기법자체가 사진합성+그림 이고 매트페인팅에 사용될만한
대형이미지들은 제한되어있기때문에 비슷한게 나올수도 있습니다...
기존구조물의 흔적이 있는것도 아니고...
에라곤에 사용된 이미지가 저렇게 사용될 정도의 대형이미지가 공개된것도 아니고...이런문제 들고나오실때는 아닌경우 역관광당하니 좀더 조심하시기바랍니다..
- 위에는 케이케이엔디님 말씀-
----------------------------------------------------------------------------------
우선 매트페인팅은 이대로 사용해도 된다는 말씀에 솔직히 전혀 납득이 가지 않는군요..
제가 1차, 2차 저작권에 관한 그런 상식이 전혀 없어 그런것은 잘 모르겠구요..영화에 쓰였던 아니던 그 사람들이 작업한 작업물 위에 덭그린 그림인것 같습니다. 그래서
위에 적으신 케이케이엔디님 말씀을 보고 그럼 제가 몇가지 물어보죠..
1) 말씀중에 기존 구조물의 흔적이 남아있다면 어찌되는 건가요?
건물이 완전히 똑같지 않아서 괜찮다는 말씀하실꺼면.. 제 생각엔 요 근래 잇엇던 일러스트 카피에 대한 문제는 전혀 있을 필요 없고 그 사건의 당사자들에게 사과해야 할 거 같군요..
2) 에라곤에 사용된 이미지가 대형이지미로 공개된것이 아니란 말도 솔직히 이해가 가지 않는게 분명히 밑에 사이트까지 알려드리고 들어가보시면 그들의 작품이란게 버젓이 나오는데 몰 어떡해 더 공개가 되야 하는거죠? 티비광고라도 해야 합니까?
3) 만일 님 말대로 원본소스사진이 같다고 한다면 실제로 저 건물이 함께 존재해야 하는 사진 아닌가요? 하지만 원본 자연물 사진소스에는 당연히 건물은 없을 것이다라고 님도 생각하셨겠죠...님 말대로라면 원본 매트페인팅의 건물이 지금 포스터의 건물과 전혀 다르다라고 생각하고 있는 이유겠군요..
님 말대로 도용의 문제가 없는 매트패인팅이라면 더더욱 여러장의 사진으로 조합햇을텐데 그럼 전혀 다른 두지역에서 만든 그림의 그림소스가 거의 비슷할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또한 원본 매트페인팅과 밑에 포스터의 자연구조가 비슷하게 나올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밑에 그림 더 올려드릴테니 한번 보시구요.. 님 말대로 역관광을 당해야 할 만큼 조심해야 할 일인지 직접확인해보세요.. 솔직히 이 정도 그림 보시고 영향을 받은 정도라고 말하건 무리아닌가요?
님 글중에 나온 모 작업자의 일러스트를 트레이싱한것은 문제가 되고 지금 이건 매트페인팅이기때문에 문제가 안된다는 님의 생각이 더 조심해야 할 문제가 아닐까 싶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