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옛날에 생각했던거 nottya 06-19 조회 11,669 공감 2 13



문명하다가 나 없이는 세상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궁금해서

맵에디터로 접척불가능지에 내 문명 배치하고 ,

나만 세계전체을 볼수 있게해서

엔터(턴넘기기)를 연타하다가 생각한거






[행성생명관찰일기]

말그대로 플래이어는 행성을 [관찰]하기만 한다.


대충이런거



먼저 플래이어는 행성의 설정을 한다.

http


행성크기 :   거대 - 생명의 다양성이 커진다. 행성회전속도(게임속도(진화속도)가 느리다.)
                  보통 - 적당함.
                  작음 - 생명의 다양성은 적은나 게임속도는 빠르다.


행성온도 :   높음 - 생명의 번식력이 높아지고 수명이 낮아진다.
                  보통 - 특성없음
                  낮음 - 생명의 수명이 높아지고 번식력이 낮아진다.



행성설정을 끝내면 플래이어가 할수 있는건 끝이다.
여기서부터는 플래이어가 할수있는건 [관찰]뿐이다.



게임내부시스템

게임이 시작되면 행성에 램덤하게 생성된 지형과 생물이 배치된다.


생물구조

생물은 DNA의 A,G,T,C의 수치에 따라 그 특성이 정해진다.


각 수치의 의미

A : 육체의 강함.
     이 수치가 높으면 그 생물은 육체적인 강인함이 높아지고
     공격성이 높아진다.
     또한 수치가 G보다 2배이상 높으면 육식 동물이 된다.

G : 성장속도.
     이 수치가 높으면 그 생물은 출산부터 성인까지의 성장속도가 빨라지고
     번식력(출산횟수&한회의 출산의 탄생수)도 높아진다.
     또한 수치가 A보다 2배이상 높으면 초식동물이 된다.

T : 지성.
     이 수치는 그 생물의 사회성& 문명성의 한계를 결정한다(나중에 설명)
     또한 이 수치가 높으면 공격성과 번식력, 수명이 하락한다.

C : 가능성
     그 생물의 가능성.
     이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새롭게 A,G,T의 추가치를 얻어 진화를 하여 새로운 생명체가 될 가능성이 높다.

R : 엽록체(0 or 1)
     이 수치는 1이면 식물 0이면 동물이 된다.



식물의 경우는
 

A : 이 수치가 높으면 그 식물의 육체적인 강인함이 높아지고
     나무가 된다.

G : 이 수치가 높으면 그 식물의 성장속도와 번식력이 빨라지고
     풀이 된다.

T : 이 수치는 그 식물의 열매의 생산성을 결정한다





사회성& 문명성

지성의 높으면 그 생명의 사회성&문명의 한계성이 설정된다.
사회성의 예
낮음 -> 높음.

무리지어다닌다.->단체행동->협동->서열확고->분업->장례->매장->..........->경제공동체->평화공동체

문명성의 예
낮음 -> 높음.
둥지제작->식량비축->미래투자(씨뿌리기)->도구사용->불공포극복->..........->우주개척->워프



플래이어는 그냥 그 성장과정을 보기만 한다.

COOL: 2 BAD: 0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nottya | Lv. 8
포인트: 2,086
T-Coin: 53
댓글 0
에러
시간
[비밀글] 누구누구님께 삭제된 글입니다 블라인드된 게시물입니다 내용 보기 댓글을 로딩중이거나 로딩에 실패하였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쓰기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