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귀요마도]9.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과정 로드오브메룽 10-12 조회 21,133 공감 3 17

시작하기전...

-안내말씀-

7화에 더블드래곤, 파이널파이트, 던파 등의 횡스크롤 액션을 쿼터뷰라고 했습니다만

사실 쿼터뷰는 캐릭터가 4방향에서 8방향을 활용하기 때문에

2방향만을 활용하는 위 게임들은 일반적인 쿼터뷰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지난화에서는 2D횡스크롤 게임을 시점의 입장으로 분류시킬 필요가 있었고

그래서 위 게임들을 쿼터뷰에 포함시켰습니다.

혹시 제대로 된 분류법을 알고 계실 경우 저한테 알려주시면 좀 짱이겠습니다.

 

 

 

 

 

8화를 아직도 기억하시는 분이 계신가 싶습니다.

기억 안나시면 8화를 다시 보러 가셔도 되겠지만

 

귀찮으신분들을 위해 대략 정리해드리자면

 

귀요마도는풀프레임애니메이션을사용했으며그것이공격판정을세밀하게짤수있는등의장점이있음에도불구하고부정적인측면이많았는데여기서부터점프로캔슬하면총을쏘면서떨어집니다앞에있는모덴군제거하신다음에점프폭탄차를제거하죠그이유는따지고보면타격모션에비해피격리액션이부실했다거나단타계열공격의액션게임에적용시킬경우속도감을잃게된다는문제였을뿐현재귀요마도에해당하는사항은아니며여기서총쏘면서쭉전진하시다보면앞에포병이포를쏴요점프로피해줍니다됐어귀요마도의연무는물흐르는듯끊임없이적을타격하는형태의연무이지만오른쪽위에포병을칼질로제거피격리액션만제대로가진다면역경직을궂이주지않아도적을몰아붙이는느낌인린치성이두드러짐으로써충분한타격감과박력을느낄수있게된다점프폭탄세개.

 

라는 이야기였죠.

헉헉...헉헉...

 

위의 말을 잘 못알아듣겠거나 더 자세한걸 원하신다면 그냥 8화를 보세요.

의미도 없는 귀도군거는도액한같은거 하지마시고요.

 

 

 

 

아시는 분이라면 뭐 대강 알고 계시는 일입니다만

전 원래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그리던 입장이었기 때문에

플래시게임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작업 역시 마찬가지의 작업을 하게됩니다.

도트같은거, 이번일에 전혀 필요 없다는것이죠.

 

초기엔 빨간선으로 대강 형태를 그리는데 이걸 러프라고 하고 있습니다.

 

대강 이런식으로만 그리면 되죠.

러프 색이 빨간색인 이유는 검은선으로 그리는데 검은색으로 러프를 할순없고

파랑과 초록은 검은색과 계열이 비슷해서 헷갈릴 위험이 높고

노랑이나 밝은초록은 잘 안보이기 때문이죠.

이렇게 러프로 움직임을 전부 완성해놓고 익스퍼트무비를 사용하여 jpg로 저장합니다.

 

그러면 저장한 이름 뒤에 프레임순서대로 차례대로 저장됩니다.

그걸 불러들이면 숫자순서대로 불러와지게되죠.

 

저는 선툴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편인데 플래시에는 마그네틱이라 불리는 기능이 있어서

러프를 플래시에서 그려낸 상태로 그냥 레이어 위에 작업할 경우

러프에 선이 자꾸 이끌려서 그림의 수정 등에 애로사항이 많아집니다.

그래서 러프를 그림파일로 바꿔 자석 영향을 안받게 하는 뭐 그러기 위한 작업입니다.

참고로 플래시로 그냥 그림하나만 그릴때는 그냥 어니언스킨을

사용하는쪽이 더 편합니다.

 

플래시의 경우 붓툴쓰는 사람도 있고 선툴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만

선툴은 만일 뭔가 틀렸을때 적절한 조절이 가능한데 이게 굉장히 유용합니다.

하지만 플래시 mx이후의 버전은 선툴에 적용되는 자석영향이 개똥망입니다.

위에 러프작업이니 뭐니 하는 이유만 가지고 보면 편해보이지만

선끼리도 제대로 안붙고 말아버리는 경우가 99% 확률로 발생합니다.

플래시는 이 선이 제대로 연결되기 전엔 페인트통으로 채색이 제대로 안되기 때문에

굉장히 짜증납니다.

 

차라리 자물쇠로 잠근 레이어에 마그네틱 영향을 받지 않게끔 따로 설정하는기능을

집어넣어주면 존나 똑똑한 일이었겠지만 그런짓을 하면 이후 나오는 플래시가 너무

성능이 뛰어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는 심각한 문제가 생기죠.

 

 

뻥 안치고 mx 이후의 가장 최신 시리즈는 어도비에서 공짜로 줘도 거절하겠습니다.

그냥 그거 갖다 중고나라에 올려서 팔아버리고 그 돈으로 불우이웃을 돕는게 더 뿌듯하겠다고요.

요점은 선툴 마그네틱좀 옛날로 돌려놔!!!! 등신들아!!!

개인적으로 mx이후의 플래시 8부터 광원효과와 같은 특이한요소를 도입했기 때문에

엄청 슬프군요.

 

 

뭔가 엄청벗어난 플래시시리즈 리뷰는 이쯤하고... 그림파일로 바꿔서 더이상 자석 영향을 받지 않는 러프 위에 선을 따주고 색을 칠해서 완성시킵니다.

귀요마도는 어차피 게임그래픽이라 명암을 따로 더 표시한다던가 하진 않아요.

 

2년전만해도 선따는걸 전부 다 마우스로 했었습니다.

제가 타블렛따위 필요없는 엄청난 천재라서 그런건 아니고

고1부터 23살이란 그 긴 세월동안 타블렛에 드라이버라는걸 같이 깔면 필압이 된다던가

타블렛 표시영역이 모니터에 딱 맞게 조절되서 그리기 용이해진다던가 같은걸 몰랐거든요.

참고로 그 때만해도 부싯돌을 사용하여 불을 피우고 사냥으로 동물을 잡아먹어야했던

어려운 시절이다보니 아무리 저라고 해도 시대에 맞춰 미개했을뿐입니다.

(혼자 있고 싶으니 다 나가주세요 이 현대인놈들아)

...아무튼 그래서 선툴을 사용해야했고(필압없는 붓툴은 후짐의 상징입니다.)

 그래서 실수를 수정하기 위해 선툴 수정을 자주하였고

결국 어느새 플래시선툴조종의 인간문화재가 되어버렸습니다.

 

 

아 근데 지금은 안그래요.

작업속도가 대략 게임그래픽 기준으로 기본 바탕이 될 그림이 없는 상태에서 그릴경우 6~7분

그 이후에 그리는건 최소 2~3분에서 최대 5분이내로

한 프레임씩 완성할수있게 되었는데 간단한 부분에선 선툴조정을 하지 않고 그냥

타블렛으로 샥하고 그려내는게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어떤식으로 일하나 궁금하신 분들은

//afreeca.com/iggler

매일 작업하면서 방송도 하고 있습니다.(과..광고다!!)

 

 

아무튼간에 지금까지 소개해드린 과정은 일반적인 경우입니다만...

 

귀요마도는 60fps를 쓰는데다가 99%는 그걸 풀프레임으로 쓴다고 했죠?

다른 추가 수단이 없이는 진짜 엄청 곤란한 사태가 발생할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런짓을 했는지도 모릅니다...

 

 

다음 이시간에 계속

 

 

 

 

 

 

 

 

 

 

본문과 별로 관계는 없는 이야기인데...

 

리그오브레전드에 구미호가 나왔다니 뭐니해서

요런 이야기들이 또 있었습니다.

 

"혹시 저 중에 귀요마도를 갑자기 떠올려서 이야기를 꺼낸 사람이 있지 않을까. 데헷?"

이라는 멍청한 기대감에 의한 검색을시도

(본 칼럼은 절대 복사컷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실패

 

 

...하아...

COOL: 3 BAD: 0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로드오브메룽 | Lv. 9
포인트: 2,230
T-Coin: 17
댓글 0
에러
시간
[비밀글] 누구누구님께 삭제된 글입니다 블라인드된 게시물입니다 내용 보기 댓글을 로딩중이거나 로딩에 실패하였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쓰기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