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블리자드의 스타2 PC방 정책에 관한 생각 하늘을날때 04-10 조회 4,117 공감 1 2

일단 관련 정보를 모으고 있는데 아직 완전치가 않기에 이건 다음으로..

 

거두절미 하고 그냥 제 생각을 말하겠습니다.

 

1. 스타2는 긴 제작기간과 막대한 투자를 했기에 현재의 가격정책은 정당하다.

 

제가 생각하는 패키지 게임이란 그 모든 패키지 게임이 스타2 만큼의 제작기간과 막대한 투자를 한다는 것입니다. 즉 블리자드의 스타2라 완성도 높은 게임 제작을 위해 긴 제작기간과 막대한 투자 란 말은 스타2 뿐 아니라 타 패키지 게임과 혹은 그에 준하는 온라인 게임에도 해당되는 말입니다.

 

그냥 단순히 몇몇 패키지 RTS게임을 거론하자면 블리자드 의 스타2 이전에도 THQ 의 DOW 시리즈, COH시리즈 등이 많은 제작기간과 투자를 통해 게임을 제작하고 한글화를 이루었지만 현재의 블리자드 와는 완전히 판이한 형식으로 판매하였습니다.

 

결국 위에 같은 이야기로는 현재의 블리자드의 스타2 가격정책을 정당화 하기에는 굉장히 무리가 있는 근거가 아닌가 싶습니다.

 

2. 스타2가 패키지 게임이지만 2개의 확장팩과 막강한 유저제작툴이 있으며 이로써 온라인 게인 못지 않는 컨텐츠가 추가 될 것이다.

 

먼저 확장팩과 유저제작툴은 스타2가 약속한 그리고 초기때부터 기획되고 투자되면 현재 진행되는 프로젝트 입니다.

 

즉 이 이상의 새로운 컨텐츠는 제공되지 않을 것이란 말이지요.

 

그럼 여기서 말하는 새로운 컨텐츠의 추가란

 

새로운 컨텐츠의 개발과 속은 재생산과 업데이트는 스타2를 제작한 블리자드 가 아닌 ''스타2''를 기본으로 하여 모드 게임을 제작하는 ''유저''의 몫입니다.

 

약속된 그리고 현재 진행중인 확장팩 2개, 유저제작툴 이외의 큰 비용 없이고 블리자드는 ''유저''에 의해 스타2의 새로운 컨텐츠를 계속해서 받아 운영 할수 있는 하나의 이득이 나타납니다.

 

즉 이러한 점에서 그 새로운 컨텐츠가 유료이던 무료이던 플레이 하던 하지 않던 블리자드는 스타2를 안정적으로 운영만 할지라도 새로운 컨텐츠를 게속해서 받으며 다른 스타2 유저들이 계속해서 머무를 수 있는 하나의 이득을 받는 것이지요.

 

또한 여기서 유료 모드 게임의 모델을 도입. 좀더 '질 좋은 유저 모드게임'을 블리자드를 추가 비용없이 얻을 수 있는 것이지요.

 

저는 여기서 포인트를 잡고 싶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스타2를 와우만큼의 계속적인 추가비용이 발생하여 그러한 이유로 시간당 250원 이라는 비용이 요구하는 것인가? 에 대해서 저는

 

와우와는 비교도 안될만큼 저렴한 비용으로 스타2를 운영할 수 있으며 단순히 운영하는 구조만 되 있어도 스타2 스스로 새로운 컨텐츠의 유입과 게임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와우와 같은 시간당 250원을 요구하는 것은 너무나 과하다 하는 것입니다.

 

또한 이것은 패키지 게임 입니다.

 

패키지 게임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패키지 게임의 특성 상 제작비용을 패키지 판매량으로 바로바로 회수&이윽을 얻을 수 있는구조임에도 불구 또한 일반판을 그렇게 하고자 6만9천원 이라는 패키지 비용을 확정 지었음에도 불구하고

 

PC방에서 만큼 온라인 게임 그것도 와우와 같은 시간당 250원 이라는 과금은 분명 과하다는 것입니다.

 

저 개인적으로 왜 이러한 결정을 한 것인가? 블리자드에 대해 강한 의구심이 들구요.

 

 

여하튼 이렇습니다.

 

나중에 좀더 쓰도록 하지요;

COOL: 1 BAD: 0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하늘을날때 | Lv. 18
포인트: 7,685
T-Coin: 71
댓글 0
에러
시간
[비밀글] 누구누구님께 삭제된 글입니다 블라인드된 게시물입니다 내용 보기 댓글을 로딩중이거나 로딩에 실패하였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쓰기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