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유료화는 비싸다? 習作 11-18 조회 9,397 공감 2 10

  현재 온라인 게임 과금방식의 큰 축은 정액제와 부분유료제입니다.

 

  요즘 정액제는 정말 자신있는 게임이 아니고선 하지 않는 추세이고, 대부분은 부분유료제 게임들이죠.

 

  정액제는 일정 시간 혹은 기간을 단위로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이고, 부분유료게임의 경우 해당 게임의 요금이 캐쉬아이템 등의 유료 컨텐츠 사용에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이지요. 부분유료게임은 따지고 보자면 일종의 부분적으로 종량제를 실시한다고 볼 수 있겠네요.

 

  일반적으로 사용량이 많을 경우 종량제에 비해서 정액제가 저렴하다는 것이 우리의 인식이지만, 부분유료화의 경우 특정 컨텐츠에만 과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도리어 정액제 게임에 비해서 저렴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진입장벽이 낮고 오래 즐기는데에도 부담이 없는 것이지요.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게임 요금에 대한 불평 불만은 주로 정액제 게임보다 부분유료화 게임에서 많이 보입니다. 정액제 게임에 비해서 저렴하게 즐길 수도 있는데도 과도한 과금이라는 욕을 먹고 있는 것이지요.

 

  부분유료게임은 정액제와 달리 특정 컨텐츠의 사용량에 따라서 요금이 납부되므로 일반화 시키기가 어렵습니다. 때문에 딱 잘라서 정액제 게임과 부분유료 게임 중 어느 것이 보다 저렴한 게임인지를 말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일정 조건을 상정하면 비교가 불가능 한 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부분유료게임의 가격을 정액제의 셈법으로 바꾸어 보는 것이지요.

 

  부분유료게임의 단위시간 가격 = 총 구매한 유료 컨텐츠 가격 / 플레이한 시간

    * 단, 시간은 비교 대상이 되는 정액제 게임에서 이야기 할 수 있는 단위로 논한다.

 

  위와 같이 계산을 해본다면, 정액제 게임에 비해서 본인이 과연 많은 돈을 지불했는지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간혹 커뮤니티 글들을 보다보면 부분유료게임에서 10만, 20만원 이상을 지불했다는 글들을 심심치 않게 보는데, 막상 읽어보면 비싼 것 같으면서도 정확히 판단할 수 없습니다.

 

  물론 부분유료게임에서의 불평 불만이 단순 가격만을 가지고서 나온 것은 아닙니다. 부분 유료게임에서 유료결제를 요구하는 해당 컨텐츠 소비를 유도하는 부분이 핵심입니다.

 

  하지만, 일단 이 글에서는 위 부분을 접어두고 단순 가격만 가지고 이야기 해 보도록 합시다. 여러분의 실제 사례와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과연 내가 즐긴 부분유료게임은 비쌌나?

 - 정액제 게임의 요금과 비교해서 저렴한 이용이라면, 부분유료 게임의 아이템 판매를 용인해 줄 수 있는가?

 

COOL: 2 BAD: 0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習作 | Lv. 18
포인트: 11,756
T-Coin: 1,312
댓글 0
에러
시간
[비밀글] 누구누구님께 삭제된 글입니다 블라인드된 게시물입니다 내용 보기 댓글을 로딩중이거나 로딩에 실패하였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쓰기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