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여년 전에 과외할 때 제 학생 중 하나는 공부에 관심은 없는데 이상한 영어단어를 많이 알고있는 걸 알게되었습니다. 알고보니 그 녀석은 게임광이어서 RPG 게임에서 나오는 시험에 안 나오는 이상한 단어들은 잘 알고 있었습니다. 예전 도스 시절에 게임을 하기 위해서 도스를 배우다가 컴퓨터 실력이 늘었듯이 게임을 좋아해서 하다보면 영어실력이 향상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착안해서 이 글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은 시리즈물로 구상하고 있는 [게임에서 배우는 영어] 시리즈의 프로토타입입니다. 현재는 게임 타이틀 하나를 선택해서 그 게임 자체에 대한 얘기와 그것과 관련된 영어 단어나 표현을 몇 개 배워보는 정도로 구상하고 있습니다. 간격은 한 달에 1-2편 정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기준은 미국영어가 될 것입니다. 또한 생활영어는 아니고 수험영어에 가까울 것입니다. 제가 이제까지 본 시험(TOEFL, GRE 등등)의 기억을 더듬어서 가능한 한번이라도 지문이나 신문에서 본 단어들을 고를 예정입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여기에만 의존해서 좋은 토플성적을 받으려면 100만년은 걸릴 것입니다. ^^; 단어의 수준은 고등학교-대학교 영어가 될 것 같습니다.
우선 이런 시리즈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제 영어실쩜?중요할텐데 그 부분에 솔직히 자신은 없습니다. 그렇다고 terrible하지는 않습니다. ^^; 저는 이과 유학생으로 미국에서 5년째 살고 있으며 아직도 매일 영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영어를 많이 알고 잘 해서 이런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같은 취미를 가지고 있고 영어를 공부하고 있는 게임동호인들에게 재미있게 영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을까 싶어서 쓰는 것입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모임공부에서 발제자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영어단어를 미리 찾아오는 사람 정도..
영어 단어를 암기했던 기억을 더듬어 보신다면 100개의 단어를 외워도 1주일 후면 10개도 안 남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단어는 단번에 기억되어 오랫동안 머리 속에 남아있습니다. 막무가내로 외우는 것보다 소설이나 영화를 보면서 공부한 단어가 오래 남기도 합니다. 저는 그런 게임이 주는 연상효과를 이용해서 좀 더 그 기억을 오래 지속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지만 공부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 그리고 저의 경험으로는 무식하게 외우는 것이 시간대비 제일 효율이 좋습니다. 단어 몇개 배우기 위해 게임 하나를 플레이 하는 것은 배보다 배꼽이 큰 경우일테니까요. 발음기호는 표기가 어려워 포함하지 않습니다.
너무 쉽거나 어렵다거나, 부족한 점들에 대한 피드백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게임 듄2(좌측), 소설 듄(중앙), 영화 듄(우측)
이번 편의 게임 타이틀은 [듄2 (DUNE 2)]입니다. 정식 명칭은 [Dune II: The Building of a Dynasty]입니다. 1992년 웨스트스튜디오즈에 의해서 개발되었습니다. 제가 처음으로 산 정품소프트웨어이기도 합니다. ^^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real-time strategy) 게임의 아버지(daddy)라고 불리우며 (최초의 RTS 게임은 [Stonkers]라고 하네요.) 이후 C & C 시리즈의 모태가 되는 게임입니다. PC용으로 개발되었지만 후속편 중 하나는 PS용으로도 발매되었으며, 2001년 발매된 [Emperor: Battle for Dune]을 포함해서 몇 편의 후속작품이 있습니다.
원작은 프랭크 허버트(Frank Herbert)의 소설 [듄 (Dune)]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SF 소설의 고전명작 중 하나이며 [반지의 제왕] 수준은 아니지만 소설 속에 별도의 언어체계를 가질만큼 방대한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제가 미국에 와서 처음 산 소설이 [Dune]이었습니다. ^^ [스타워즈]나 [렌즈맨] 스타일은 아니지만 독특하고 재미있습니다.
dune a hill or ridge of wind-blown sand, 즉 모래언덕입니다. 시험에서 가끔 볼 수 있는 단어입니다. 사막이나 해안에서 보이는 모래언덕 모두를 가리킵니다.
예문: A dune is a hill of sand near the sea or in a desert.
예문2: Last spring, Opportunity got stuck hub-deep in sand while trying to crest a foot-high dune, and was freed after weeks of effort by the Earth-bound engineers. (화성탐사장비에 관한 얘깁니다.)
이 게임에서는 스파이스(spice)라는 아라키스(Arrakis)행성에서만 채취되는 광물을 채집해서 돈을 벌어야합니다. 스파이스의 채취는 하베스터(harvester)에 의해서만 가능한데 조심하지 않으면 샌드웜이 삼켜버리기 때문에 항상 신경써 줘야합니다.
스파이스를 채취하고 있는 하베스터
harvester 1. someone who gethers a crop. 2. a machine for harvesting crops; a reaper, 곡식을 추수하는 사람이나 기계를 말합니다. harvest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것이며 harvest는 아주 자주 보이지만 이 단어는 그리 자주 보이지는 않습니다. 이 게임에서는 스파이스를 채집(추수)하는 위 그림에 보이는 기계를 기리킵니다.
예문: He started a new career as a body harvester in nearby New Jersey, opening Biomedical Tissue Services, an FDA-registered company that appeared completely legit.
3개의 종족으로 플레이 가능하고 각 가문(?)은 저마다 독특한 무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 하르코넨(Harkonnen) 전용 유닛인 디배스테이터(devastator)가 있습니다. 이 유닛은 원자력엔진에서 동력을 얻어 파괴력이 엄청나고 자폭할 경우 범위공격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샌드웜(sandworm)과 프레멘(Fremen)이라는 중립유닛이 존재합니다. 샌드웜은 오래 위에 있는 건 종족을 가리지 않고 삼켜버리며 프레멘은 원작소설의 설정상 아트레이데스(Atreides)를 제외한 종족을 공격합니다.
세 가문과 디배스테이터
devastate 1. To lay waste; destroy. 2. To overwhelm; confound; stun. 정확히 말하면 destroy(파괴하다)보다는 조금더 어감이 쎈 말로 초토화하다 정도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즉, devastator는 적을 초토화시킬 수 있을만큼 가공할 위력을 가졌다는데서 이름을 붙인 것 같습니다. 같은 이름의 메카닉도 있습니다. 신문에서 비교적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예문: California adopted its regulations for fear that genetically modified farmed fish, such as salmon, could get loose and devastate the state’s wild populations.
참고자료:
//en.wikipedia.org/wiki/Dune_II
//www.newsweek.com
//www.dictionary.com
Collins Cobuild English Dictio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