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리자드라는 게임이 대단하긴 하군요.
한페이지에서 끝날 글이 벌써 이정도까지 올라오다니요
이번 스타2발표에 긍정적인 분들은 7만원짜리의 값어치고 있고 이런 가치에 7만원정도는 비싼게 아니다 라고 합니다. 이건 그분들 입장에선 틀린말이라고 말할순 없습니다.
그런데 7만원은 타게임에 비해 비싼가격이긴 하지만 그 이상의 투자할 값어치가 있기 때문에 구매할 의사가 있다 인가요? 아니면 이정도 게임이 7만원이면 싼건데 왜 투덜거리는지 모르겠다? 인건가요? 여기에 대해서 같은 입장이라도 애매모한 글들이 있더군요.
전자라면 비싼걸 인지는 하고 있지만 이번 스타2는 그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판다하고 구매할 의사를 비치지만 다른상황에서 자기기준보다 비싸거나 가치가 떨어지면 구매하지 않을 일종의 기준선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고 후자라면 자신의 가치가 절대적으로 우선시되서 7만원이 아니라 10만원이라고 해도 불만없이 사실 분들이죠.
제가 생각하는 가격에서 스타2의 가격은 정말 비싸다고 생각합니다.
다른나라처럼 패키지가 아닌데도 기존 공시했던 가격과 변동이 없다는겁니다. 다운로드서버와 관리만으로도 패키지처럼 재료 공정 운송 그 어떤것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근데 가격이 똑같네요?
누가 보나 패키지쪽에 여러면에서 돈이 많이 듭니다. 이걸 간소화했다면 거기다가 패키지를 원하는 유저들의 의욕을 꺽고 북미판으로 한국서버에 접속 못하게 쳐막았으면 이런 유저들에게 가격할인의 혜택이 돌아가야 하는게 적어도 정상이 아닐까요? 한국유저들에게 그정도 권리도 없습니까?
거기다가 스타1때는 한빛에서 팔았지만 스타2는 블코에서 직접팔아먹습니다. 7만원이 그대로 여과없이 블리자드에서 꿀꺽합니다. 중간 마진 이런것도 없고 위에 적었다시피 크게 추가적인 비용도 없습니다. 그나마 있다면 현재로선 한글판 정도가 되겠군요. 네 그래도 7만원은 참 싸죠
그 외에도 피시방과금정책은 할말조차 잃게 만듭니다. 정액제? 패키지에서 다른 유저간의 멀티플레이지원은 여타게임들도 다 지원을 해왔던것이고 이런 전략게임에선 필수적으로 제공해주는 서비스입니다.
거기다가 워3이후 게임자체의 재미보다 유즈맵의 재미가 압도해버리는 상황에선 어찌보면 스타2마저도 똑같은 상황이 올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서비스에서 정액제로 돈을 받으시겠다? 그것도 와우 정액제와 동일한 가격으로? 언제부터 패키지게임이 온라인게임이 됬나요? 변명은 참 쩔었죠 쪽박을 찼을때 피시방에선 손해가 줄어든다. 맛보기가 쉽다. 근데 중박이상을 치면요?장기적으로 보면요? 그냥 미친듯이 피만 쪽쪽 빨아먹겠다는겁니다. 스타1의 성공은 어찌보면 피시방이 일등공신이라 할정도로 큽니다. 아 거기에 대한 블리자드의 배려가 이거군요?
패키지라는건 시간이 지나면 가격이 떨어집니다. 가격이 떨어질때를 노려 사는 소비자들도 있고요. 온라인 다운로드라도 할인서비스 같은 걸 적용시킬 수 있죠. 근데 정액제에서 그런거 있나요? 손님이 찾으면 울며 겨자먹기로 들여놔야 하는건데 한번 사면 영구히 사용하는 패키지에 당연히 서비스로 딸려나와야 할 서비스를 영구히 돈을 쳐받고 파시겠다는게 당연하고 싼건가요?
늘 말했지만 그냥 타게임과 단순한 가격비교에서 7만원짜리 게임은 비싸다고 생각합니다.
사기에는 충분히 부담도 있고 망설여질수도 있는 가격이라고 봅니다. 조금만 더 싸게는 어찌보면 소비자 입장에선 당연한 생각일지도 모르고요.
이만한 능력에 이만한 rpg게임만들기 능력에 이런 재미있는 명품게임이 어딨냐 라고 해도 그건 개인적인 생각에 7만원 이상의 가치가 있으니까 이건 비싼게 아니다 일뿐이죠. 반대로 스타2 정말 재밌기는 하지만 7만원은 좀 비싼거 같다 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도 자기 가치관으로 찍어 누르실껀가요?
머 13만원 20만원짜리 게임도 있는데 7만원쯤이야 이런 글도 봤는데 그럼 13만원 20만원이 싼건가요? 그 정도 가격을 내도 충분히 만족하니 아깝지 않다 라는거지 13만원 20만원짜리가 싸다 가 아니지 않습니까? 본인이 만족하는 기준의 가격이라고 해도 남또한 똑같다고 생각하는건 잘못되지 않습니까? 이점을 충분히 생각해봤으면 좋겠네요.
미숙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본문의 내용이나 잘못된 내용과 정보가 있다면 태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