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얼짱/몸짱/스타]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한 독립운동가 김상옥 카라멜팝콘 01-06 조회 15,893 추천 18 5


 

 

김상옥1890년(고종 27) ~ 1923년

 

독립운동가 



1919. 3.1운동 당시 

만세를 외치던 여고생을 베려하는 일본군경을 저지 

폭행하고, 군경의 검을 탈취 자신이 보관 

탈취한 검은 독립기념관에 현재 전시 중 

1919. 12월 암살단을 조직 

1920. 4월 동료들과 함께 전라도 지역을 돌며 수명의 친일파를 숙청 

1920. 12월 의열단에 가입 

1923. 1월 12일

밤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져 아비규환의 수라장으로 만들었다. 

이 투탄으로 건물의 일부가 파손되고 행인 남자 6명과 여자 1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큰 소동이 났다.

투탄 당시만 하더라도 의거의 주인공이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일본경찰도 정확히 모르고 있었다. 

 
1923.1월 13일 저녁에 남대문밖 삼판통 자기 누이의 집인 304번지에서 은거하며 

사이토 총독의 암살기회를 엿보다 일본군경에 발각 

은거지에서 수십명의 일본군경과 총격전을 벌여 

당시 유도 사범이자, 간부형사였던 타무라를 사살하고 

이십여 남짓을 상해를 입히고 탈주 

남산인근 절로 숨어들어 승려로 위장한채 다시 기회를 엿보다 

혁신단 시절 동지의 집에 다시 은거 

1923.1월 17일 

 

12일밤에 종로경찰서에 폭탄의 출처를 일본경찰이 추적

 

결국 암살단의 비밀거처가 발각


이에 우에다,아마세 경부 지휘아래 20명의 무장경찰에게 비밀거처가 포위당하였다

 

김상옥 열사는 쌍권총을 들고 총격전을 벌이며 형사부장인 다무라를 사살 및 이마세,우메다 경부에게 치명상을 입히고 유유히 사라졌다 

1923.1월18일

남산을 거처 금호동에있는 안장사에서 승복과 짚신을 빌려 변장하여

 

일본경찰의 경계망을 피해 효제동 이혜수의 집에 은신 이후 거사작전을 펼치게된다

 

1923.1월 22일 

최후의 거처가 발각되어

그 날 5시반경 경기도경찰부장 우마노(馬野)가 총지휘관이 되고 보안과장 후지모토(藤本)가 부지휘관이 되어 

 

시내 4대 경찰서에 총비상령이 내렸다.  

일본군경 천여명에 포위당함 


민가의 지붕을 뛰어다니며 

일본 군경 400여명과 3시간동안 총격전을 벌이다 (이때에도 쌍권총을 사용했다)

총알이 다 떨어지자 남은 한발로 자결함. 

시신에는 11발의 총알이 몸에 박혀 있는 상태였다고 

 


-출처: 루리웹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한 위대한 영웅이기에 스타 갤러리에 올립니다.

 

평화 독립운동의 한계에 좌절하고, 결국 무장투쟁을 선택한 후 독립운동 폭압의 상징과 같은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고 쌍권총으로 일본에 저항하던 분이셨습니다.

 

추천: 18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카라멜팝콘 | Lv. 8
포인트: 3,081
T-Coin: 30
댓글 0
에러
시간
[비밀글] 누구누구님께 삭제된 글입니다 블라인드된 게시물입니다 내용 보기 댓글을 로딩중이거나 로딩에 실패하였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쓰기
주사위
주사위 놀이 닫기
주사위 수를 입력해 주세요.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