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좋아하는 <LOL>을 공부와 연관시킬 수 없을까?”, “실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방법은 없을까?” 디스이즈게임은 ‘찍신’ 이상엽 강사와 함께 <LOL>을 좋아하는 10대 이상의 유저들을 위해 토익 문제를 제공합니다. <LOL>의 상식뿐만 아니라, 올바르고 다양한 영어 표현도 배우고 토익 성적도 올리는 건 어떨까요? 그럼 이상엽 강사와 함께 ‘LOL 토익 완전 정복’'을 시작합니다. /디스이즈게임 편집자 주
■ 오늘의 주제: 라바돈의 죽음모자(Rabadon's Deathcap) 3편
- ‘라바톤의 죽음 모자’는 상위 아이템으로 경기 후반, AP 미드 라이너에게는 힘을 상징하는 필수 아이템입니다.
- 단일 아이템 중 가장 높은 주문력을 제공하지만, 패시브의 특징상 일반적으로 ‘마법사의 신발’(일명 마관신)과 캐릭터 코어 아이템 하나까지 갖춘 후 구매합니다.
[오늘의 LOL 용어]
- Ability Power Ratios: 주문력 계수 - Void Staff: 공허의 지팡이 - Kassadin: 카사딘 - Fizz: 피즈 |

■ 오늘의 LOL 토익: 파트 6
Rabadon's Deathcap is essential for any champion with ability power ratios, wishing to ___________ significant magic damage that will carry into late game.
1. (A) a deal (B) deal (C) dealing (D) dealt
[해석] 라바돈의 죽음모자는 주문력 계수가 있는 챔피언에겐 필수 아이템이므로 이러한 챔피언은 경기후반을 지배할 막대한 마법피해를 (적에게) 입히고자 원한다.
[해설] 품사를 고르는 문법문제이다. wish to 부정사이므로 빈칸에는 동사원형이 들어갈 자리이다.
[정답] (B) |
_______________ from the champion's base damage, however Void Staff may be better purchase.
2. (A) Obtaining (B) Apart (C) Depending (D) Far
[해석] 하지만 챔피언의 기본 데미지에 의존한다면 공허의 지팡이가 더 나은 구매가 될 수도 있다.
[해설] 문맥상 어울리는 어휘를 고르는 문제이지만 (A), (C)처럼 준동사(동사는 아니지만 동사에 준하는 역할을 하는 동명사, 분사, 부정사를 지칭)가 선택지에 제시된 경우 문법문제로 볼 수 있다. (A) 준동사 obtaining의 원형 obtain은 타동사이므로 전치사가 아니라 목적어를 필요로 하므로 오답이다. '~을 제외하고' 뜻의 전치사 apart from과 '전혀 ~이 아닌' 뜻의 전치사 far from은 문맥상 맞지 않다.
(C) 준동사 depending의 원형 depend는 자동사이며 전치사 on/upon과 짝꿍을 이룬다. 전치사 on/upon과 짝꿍을 이루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것이므로 문제처럼 문맥에 따라 depend 뒤에 다른 전치사를 쓸 수 있다.
[정답] (C) |

Champions with high base damage will generally benefit more from Void Staff, especially if they have low ability power ratios. But a champion with high ability power ratios but low base damage, ________________ Kassadin or Fizz, will benefit more from Rabadon's Deathcap.
3. (A) such as (B) in case of (C) for example (D) as well as
[해석] (예를 들어) 특히 주문력 계수가 낮지만 기본 데미지가 높은 챔피언들은 보통 공허의 지팡이로부터 더 많은 이익을 얻는다. 하지만 (반대로) 카사딘과 피즈처럼 기본 데미지가 낮지만 주문력 계수가 높은 챔피언은 라바돈의 죽음모자로부터 많은 이익을 본다.
[해설] 품사를 고르는 문법문제이다. 양쪽 콤마(빈칸 앞의 콤마와 Fizz뒤 콤마)를 삽입이라 부른다. 삽입 형식을 취하는 것은 such as와 for example이다. such as는 for example처럼 의미는 같지만 문장구조상 쓰임이 다르다. 둘 다 양쪽 콤마를 사용해 문장의 흐름을 방해하는 삽입형식을 쓸 수 있지만 such as는 두 단어 형식 즉, 구전치사(전치사가 in front of처럼 두 단어 이상의 형태)이다.
따라서 such as 다음에는 목적어가 따라야 한다. 한편 for example은 전치사 for의 목적어로 명사 example이 있기 때문에 구전치사가 아니다. 따라서 for example 뒤에는 목적어가 올 수 없다.
[정답] (A) |